1단계 : 낯익은 이주민의 건강위기(2021.9.1.-2024.5.31.)
1년차
(2021.9.1.-2022.5.31.)
이주민 건강위기의 이론화와 개념화 : 레짐, 공공성, 커먼즈
  • 이주의 글로벌 연쇄와 코로나19로 인한 이주민의 건강 취약성
  • 이주민건강 담론분석
  • 지역건강공동체(건강커먼즈) 국내외 실태
2년차
(2022.6.1.-2023.5.31.)
제한된 공공성 : 보건소·(무료)민간의료기관·NGOs
  • 공공성 현황 : 접근성, 민주성, 형평성, 책임성, 증진성
  • 건강 자원 및 연결망
  • 의료전문인, 활동가 건강공공성 문화지도
3년차
(2023.6.1.-2024.5.31.)
차별과 차이 : 이주민ㆍ선주민 건강지도
  • 이주과정, 질병궤도 및 건강·돌봄 연결망
  • 이주민ㆍ선주민 건강문화지도
  • 건강 사회결정요인과 건강자원 지도화
2단계 : 커먼즈로서 지역밀착형 이주건강공공성(2024.6.1.-2027.8.31)
4년차
(2024.6.1.-2025.5.31.)
이주민의 건강공공성 실현을 위한 지역건강커먼즈 실험
  • 지역건강공동체와 이주민의 참여를 통한 협의체 구성
  • 건강공공성의 구성요소와 핵심의제 발굴 및 선정
  • 리빙랩을 활용한 예비타당성 및 실천가능성 점검
5년차
(2025.6.1.-2026.5.31.)
이주민의 지역건강생태계 재구성
  • 건강의 사회결정요인을 반영한 다양한 지역건강커먼즈 확장
  • 지역사회 건강자원의 지속가능성
  • 이주민의 지역건강생태계 재구성
6년차
(2026.6.1.-2027.5.31.)
지역밀착형 건강커먼즈 패러다임 구축
  • 건강커먼즈 질적 가치 지표 및 준거의 표준화
  • 건강커먼즈 구성요소 도출 및 타지역 적용가능성 모색
  • 건강공공성 강화를 위한 법제도 등 인프라 구축
7년차
(2027.6.1.-2027.8.31.)
이주와 건강공공성의 글로벌 거버넌스
  • 이주민 건강공공성의 보편성 및 특수성 규명
  • UN, GCM 등 글로벌 거버넌스 전환 탐색